• 주메뉴 바로가기
  • 본문 바로가기
  • 시작페이지로
  • 즐겨찾기
  • 회원가입
  • 로그인

가정의 힘

  • 가정의 힘Power of Family
    • 소개/인사말
    • 동역자들
    • 비전과사명
    • 주요사역
    • 파트너십
    • 후원/오시는길
  • 부모교육Parenting
    • 가정세움학교
    • 젊은부부
    • 학령기부모
    • 청장년부모
    • 세대와세대
    • 추천도서/링크
  • 가정예배Family Rituals
    • 시작하기
    • 주일보내기
    • 일상기도/축복
    • 가족/교회절기
    • 추천도서/링크
  • 청년/자녀교육Education
    • 청년멘토링
    • 학습코칭
    • 태교/영유아
    • 초등교육
    • 청소년교육
    • 추천도서/링크
  • 생애주기Life Cycle
    • 생애주기 정의
    • 생애주기와 함께 하는 교회
    • 유아기
    • 아동기
    • 청소년기
    • 청년기
    • 장년기
    • 중년기
    • 노년기
  • 커뮤니티Community
    • 파일럿처치
    • 유대인 교육
    • 리소스센터
    • 평공맘모임
    • 교회와가정
    • Pastor’s Library
    • News & Event
기사검색
닫기
검색창 열기

가정교육

  • 홈
  • 교육저널
  • 가정교육
  • 부모 공경 계명의 독특성

    보이는 하나님(?!)으로 세우신 부모를 공경하라 이윤석 목사 (독수리기독학교 연구소장) 부모 공경 계명의 독특성 모세가 시내산에서 하나님께 받은 십계명은 신자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잘 알려줍니다. 십계명 중에서 1~4번째 계명은 하나님에 대한 것이고, 6~10번째 계명은 다른 사람들에 대한 것입니다. 그런데 다섯 번째 계명인 이 부모 공경의 계명은 하나님에 대한 계명들과 사람에 대한 계명들 사이에 있으면서 부모와 자녀라는 독특한 관계를 이용하여 사람과 사람의 관계뿐 아니라 사람과 하나님의 관계에 대한 교훈도 준다는 점에서 특이합니다. 하나님은 부모에게 자녀를 양육하고 교육하여 독립적인 가정을 이룰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일을 맡기셨습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는 어린 자녀들에게 보이지 않는 하나님을 대신하여 보이는 하나님의 역할을 하면서 자녀가 하나님을 경외하는 법을 배우도록 해야 합니다. 자녀에게 부모는 그냥 수평적 관계에 있는 동료 인간이 아닙니다.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부모는 자녀에게 하나님을 대리하는 역할을 하는 존재입니다. 부모 공경에 따르는 약속 부모를 공경하는 자녀는 특별한 복을 받습니다. 신명기 5장 16절은 “너는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명

    • 관리자
    • 2021-07-22 14:20
  • 제자리에 서면 가정의 힘이 솟아난다

    이윤석 목사(독수리기독학교 연구소장) 스포츠 경기에는 개인전이 있는가 하면 단체전도 있다. 쇼트트랙 경기 종목 중 ‘팀 추월’이란 종목은 세 명이 한 팀을 이루어 경기하는데 마지막으로 들어온 사람의 기록이 그 팀의 기록이 되므로 세 번째 선수의 기록을 최대한 높이기 위해 팀원 세 명이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 2018년 동계올림픽 때 한국 여자 팀 추월 종목 출전 선수들이 두 명은 빨리 들어오고 한 명은 많이 쳐진 채로 들어와 결국 좋은 성적을 내지 못했다. 마지막 선수의 기록이 팀의 기록이 되는데도 나 몰라라 하면서 앞서 들어온 두 선수는 시시덕거렸다. 이런 원리는 가정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남편과 아내, 자녀, 부모 등으로 구성되는 가정은 하나의 팀이다. 한 가정의 성과는 가정의 구성원 모두의 성과와 비례하는데 특히 가정 구성원 중 가장 약한 사람의 성과와 비례한다. 건강한 가정은 가정 구성원 모두의 성과, 특히 가장 약한 구성원의 성과를 최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으로 중요하게 요구되는 일이 있다. 바로 가정 구성원들이 각자 자신의 자리에 바르게 서서 자신의 역할을 잘 감당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단체 운동 경기인 축구의

    • 관리자
    • 2021-05-07 11:42
  • 가정의 목표, 행복?

    얼마 전, 결혼을 앞둔 예비부부를 만나 대화를 나눌 때였습니다. 젊은 예비 신부가 지금까지 살아온 길을 돌아보면 후회가 많다고 해서 살짝 놀랐습니다. 어떤 결정을 해도, 하기 전에 망설이고, 하면서 후회하고, 하고 나서도 후회한다는 것입니다. 최근 한 젊은 엄마에게서도 비슷한 말을 들었습니다. 아이들을 초등학교까지 키우면서 ‘내가 그때 그렇게 하지 말고 이렇게 했어야하는데’ 뒤늦은 후회가 많다고 합니다. 주변을 둘러보면 다들 최선을 다하고 있고, 좋은 삶을 위해 지나칠만큼 노력하고 있는데, 왜 우리는 이토록 불안과 후회가 많을까요? 몇 년 전 TED에서 ‘부모들에게 행복은 아주 높은 목표’라는 강연을 봤습니다. 뉴욕 타임즈의 칼럼니스트이고 <부모로 산다는 것>의 저자인 제니퍼 시니어의 흥미로운 강연이었습니다. 오늘날 부모들이 어떤 세대보다 자녀들을 위해 더 노력하고 있음에도 행복하지 않고 불안과 후회가 많은 이유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행복은 그 자체를 목표로 할 때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라, 다른 높은 가치를 추구할 때 따라오는 부산물이라는 겁니다. 행복을 목표로 하는 삶은 결코 행복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런데도 우리 시대는 너무나 손에 잡기

    • 관리자
    • 2021-05-07 11:12
  • 가정을 세우는 마인드셋

    가정을 세우는 마인드 셋 (주)도움과나눔 최영우 대표 2009년 말콤 글래드웰이 <아웃라이어>라는 책에서 ‘일만 시간의 법칙’을 주장해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특정 분야에 하루 3시간씩 일주일에 20시간을 잡고 10년을 연습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된다는 이야기다.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린 말이다. 일만 시간의 법칙이 맞았다면 모든 가장은 가정 생활의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현실은 우리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전혀 그렇지 않다. 일만 시간의 법칙에 많은 비판이 제기되었고, 노력을 통해 탁월해지기 위해서 아래에 소개할 두 가지 요소가 꼭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점점 동의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40년간 이 분야를 연구한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과 교수 캐럴 드웩의 책 [마인드셋(Mindset)]은 편견을 깬다. 그는 마인드 셋을 성장형, 고정형으로 분류한다. 성장형 마인드 셋을 가진 사람은 삶이 변화할 수 있다고 믿는다. 고정형 마인드 셋을 가진 사람은 변화가 재능에 의해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이들의 차이를 엄청난 통찰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다. 긍정적 변화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만족할 때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타당한 이야기다. 1

    • 최영우
    • 2021-03-17 13:26
  • 아이들과 나누는 식탁 대화

    안혜성 집사 (가정의 힘) 요즘 우리 집 식탁 위에는 작은 화이트보드가 있습니다. 그것은 아이들과 밥 먹기 전에 함께 신나는 목소리로 읽는 짧은 성경구절이 씌여있는 보드입니다. 말씀이 바뀌는 주기는 보통 일주일인데 그 정도 기간이면 아이들은 금세 외워버리고 후다닥 읽어버리기 일쑤입니다. 이번 주의 말씀은 가정세움학교의 핵심 말씀 중 하나인 신명기 6장 5절 입니다. “너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네 하나님 여호와를 사랑하라” “얘들아 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뜻을 다하고 힘을 다해서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어떤 거라고 생각하니?” “하나님 말씀을 순종하는 거요!” “순종하는 게 뭔데? 너희들이 할 수 있는 순종이 뭘까?” “하나님 말씀 외우는 거요? 하나님 말씀대로 행동하는 거요!” “그것도 물론 맞아. 그런데 그것뿐만이 아니라 너희들은 힘껏 놀고, 열심히 공부하고 그리고 무엇을 하든지 하나님께서 기뻐하실 만한 마음으로 감사히 하는 모든 것들이야. 만일 하나님께서 공부 1등한 사람만 내 자녀로 삼아야겠다 하셨으면 세상엔 하나님 자녀가 몇 명 없겠지. 그렇지만 하나님은 마음을 보신다고 하셨거든. 마음을 드리는 건 어린이인 너도 할수 있는 일이야.

    • 안혜성
    • 2020-12-22 11:09
  • 자녀들은 헬리콥터 부모를 어떻게 생각할까?

    헬리콥터 부모는 자녀 주위를 맴돌면서 자녀의 작은 필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일거수일투족 세심하게 신경 쓰는 헌신적인 부모다. 과연 그런 부모의 극진한 보호를 성인이 된 자녀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그런 양육법에 감사를 표현할까? 미국 뉴스 웹사이트인 레딧에 올라간 이 질문에 2천개가 넘는 답글이 달렸다고 한다. 많은 이들이 호소한 것은 감사가 아니라 고통과 답답함이었다. 지속적인 악영향 많은 이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응답했다. “저는 제가 다른 사람에 의해 움직이고, 조종되는 것 같은 느낌이 싫어요” “저는 제가 무슨 일을 하든지, 심지어는 일상생활 속에서도 제가 감시당하고, 관찰 받는다는 느낌이 싫어요.” “제가 어떤 직업을 갖고 일하든지, 저는 제가 무언가를 망쳐서 사람들에게 실망을 주지 않을까 계속 두려움을 느껴요. 저는 솔직히 말하면, 마비된 것 같아요” “저는 자라오면서, 저의 사생활이 존재하지 않는 게 정상적인 삶이라고 생각했어요” “불안하고, 숨이 막힐 것 같아요. 헬리콥터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비정상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고, 그들의 자녀들은 이미 성인이라는 것을 받아들이길 거부해요.” “저는 집에서 나온 지 수년이 지났지

    • 관리자
    • 2020-10-07 15:35
  • 가장의 자리를 지켜라!

    단혜향 교장(독수리 기독학교) 제가 몇년 전에 이스라엘에 갔을 때 안식일에 한 정통파 유대인 가정에 초청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정통파 유대인 가정에서 안식일을 어떻게 지키고, 어떤 활동이 진행되는지 볼 수 있었습니다. 사실 유대인은 역사상 수천 년 동안 가정 안에서 신앙을 전승하는 일이 퇴색되지 않은 유일한 민족입니다. 그 가정의 안식일 의식을 보니까, 젊은 아버지가 가족들 앞에서 제사장과 같은 역할을 능숙하게 합니다. 빵을 자르고, 포도주를 따르고, 꼬마들부터 모든 가족들이 하나님 말씀을 따라 함께 기도하고 함께 성경을 읽도록 잘 지도하는 모습을 보고 정말 깜짝 놀랐습니다. 그 자리에 유명한 정통파 랍비인 장인도 있었는데 그 장인은 가만히 있고 젊은 사위가 그 가정의 안식일 예배를 다 인도했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총회장급 거물 장인을 옆에 두고도 어린 사위가 모든 의식을 다 인도한 것입니다. 그 대단한 장인도 감히 한 가정의 영적 책임자인 사위의 권위와 역할을 침해하지 않았습니다. 오늘 한국 사회 대부분의 가정이 가장을 경제적 책임을 지는 사람으로만 인식하고, 영적인 지도와 책임은 어머니 몫으로 생각하는 것과 너무나 대조적이었습니다. 사실 우리도 아버지들

    • 관리자
    • 2020-01-08 15:15
이전
1
다음

가정의힘 TV

더보기
2021년 가정세움학교가 예수향남교회에서 시작됩니다.
[가을 세미나 풀영상] 가정을 통한 신앙전승 실천적 대안 모색
가정의 힘을 시작합니다!
[가족기도회] 하나님이 손수 심으신 의의 나무(사 61:1-3)_단혜향 교장
[가정세움학교]1. 가정을 세우는 3가지 기초

북리뷰 BOOK REVIEW

더보기
  • BOOK REVIEW [북리뷰] 부모로 산다는 것 All Joy and No Fun
  • BOOK REVIEW <북리뷰> 배움의 발견 Educated
  • BOOK REVIEW [북리뷰] 그리스도인 가정의 신비
  • BOOK REVIEW [북리뷰] 완벽한 부모는 없다

로고
  • 소개
  • 한국IFCJ
  • 동역자들
  • 비전과 사명
  • 주요 사역
  • 파트너십
  • 후원/오시는 길

한국 IFCJ 가정의힘, 리소스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10길 33 성락성결교회 902호 / 전화 : 02-465-0877
Copyright ©2020 Power of Family.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ediaOn

UPDATE: 2024년 12월 06일 16시 29분

최상단으로